내년 도입 예정인 k-패스 교통카드 모르시는 분 계신가요? 요즘 가계부를 쓰면서 가장 크게 부담되는 것이 바로 생활비의 상승이 아닐까 싶은데요. 특히, 그중에서도 대중교통비의 인상은 지출 부담이 가장 큰 항목이 되어버렸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그 주변의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에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인상되었고, 버스 기본요금은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올랐습니다. 게다가, 더욱 슬픈 소식은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2024년에 한 번 더 150원씩 인상된다는 점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대학생, 직장인 또는 아직 경제적으로 완전히 독립하지 못한 청년들에게 이런 상황은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이런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는, 교통비를 최대 반값까지 줄여주는 K패스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 합니다. 또한,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알뜰교통카드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K패스 교통카드는 무엇일까요?
K패스는 사용자의 계층(일반, 청년, 저소득계층 등)에 따라 버스와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약 20%에서 최대 53%까지 적립되어,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조건이었는데 k-패스 교통카드는 월 21회로 상향 조정되기는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k패스 교통카드는 내년 하반기인 24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 산하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에서 발표한 k패스는 예산이 2배 가까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혜택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K패스의 혜택은 무엇인가요?
K패스 교통카드는 이동 거리나 지출 금액대에 상관없이 최소 월 21회부터 최대 월 60회까지의 이용 횟수에 따라 적립이 가능합니다. 적립률은 일반인에게는 20%, 청년에게는 30%, 저소득층에게는 53.3%가 적용됩니다.
적립률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일반 사용자는 이용요금의 20%,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은 30%,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은 53.3%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서울시 시내버스 기본요금(1,5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일반 사용자는 월 최대 1만 8천 원(1년 기준 21만 6천 원), 청년은 2만 7천 원(1년 기준 32만 4천 원), 저소득층은 4만 8천 원(1년 기준 57만 6천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해 봤을 때 한 달에 약 1만 원 정도 더 절약을 할 수 있는 셈입니다.
3. 그렇다면 알뜰교통카드는 어떤 것일까요?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도보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를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 하지만 이 카드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앱을 이용해야 하며, 이동 거리에 따라 적립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에 다소 불편함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K패스는 별도의 앱 설치가 필요 없으며, 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월 21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환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를 비교해 보면,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혜택을 추가한 것이 핵심입니다. 이동 거리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원 혜택도 확대되어 대중교통비 절감 효과가 더욱 커졌습니다.
4. the 경기패스 사업
경기도에서는 k-패스 사업을 업그레이드시켜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들을 위해 지원 대상 연령대를 확대시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월 이용 횟수도 21회 이상은 무제한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매일 출퇴근하는 학생들이나 39세 미만 직장인들에게는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로 어린이와 청소년은 기존 13세~23세에서 6세~18세로 조정되었으며, 청년은 19세~34세에서 19세~39세로 나이대가 증폭 조정 되었습니다.
이상 K패스와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점과 차이점도 알려드렸는데요. 대중교통비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내년 하반기부터는 혜택이 더 많은 K패스를 사용하시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유용한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0) | 2023.12.05 |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0) | 2023.12.04 |
기후동행카드 혜택과 신청 방법 (0) | 2023.11.24 |
전세보증보험, 보증금 반환 신청 방법(HUG) (0) | 2023.10.15 |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과 방법(2023년)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