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소식 / / 2023. 11. 28. 12:13

k-패스, 알뜰 교통카드, the 경기패스 비교

 

 

내년 도입 예정인 k-패스 교통카드 모르시는 분 계신가요? 요즘 가계부를 쓰면서 가장 크게 부담되는 것이 바로 생활비의 상승이 아닐까 싶은데요. 특히, 그중에서도 대중교통비의 인상은 지출 부담이 가장 큰 항목이 되어버렸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그 주변의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에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인상되었고, 버스 기본요금은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올랐습니다. 게다가, 더욱 슬픈 소식은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2024년에 한 번 더 150원씩 인상된다는 점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대학생, 직장인 또는 아직 경제적으로 완전히 독립하지 못한 청년들에게 이런 상황은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이런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는, 교통비를 최대 반값까지 줄여주는 K패스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 합니다. 또한,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알뜰교통카드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알뜰 교통카드, the 경기패스 비교
k-패스, 알뜰 교통카드, the 경기패스 비교

 

 

 

 

목차

     

     

     

    1. K패스 교통카드는 무엇일까요?

    K패스는 사용자의 계층(일반, 청년, 저소득계층 등)에 따라 버스와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약 20%에서 최대 53%까지 적립되어,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조건이었는데 k-패스 교통카드는 월 21회로 상향 조정되기는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k패스 교통카드는 내년 하반기인 24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 산하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에서 발표한 k패스는 예산이 2배 가까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혜택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K패스의 혜택은 무엇인가요?

    K패스 교통카드는 이동 거리나 지출 금액대에 상관없이 최소 월 21회부터 최대 월 60회까지의 이용 횟수에 따라 적립이 가능합니다. 적립률은 일반인에게는 20%, 청년에게는 30%, 저소득층에게는 53.3%가 적용됩니다.

     

     

    적립률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일반 사용자는 이용요금의 20%,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은 30%,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은 53.3%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서울시 시내버스 기본요금(1,5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일반 사용자는 월 최대 1만 8천 원(1년 기준 21만 6천 원), 청년은 2만 7천 원(1년 기준 32만 4천 원), 저소득층은 4만 8천 원(1년 기준 57만 6천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해 봤을 때 한 달에 약 1만 원 정도 더 절약을 할 수 있는 셈입니다.

     

     

     

    3. 그렇다면 알뜰교통카드는 어떤 것일까요?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도보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를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 하지만 이 카드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앱을 이용해야 하며, 이동 거리에 따라 적립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에 다소 불편함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K패스는 별도의 앱 설치가 필요 없으며, 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월 21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환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를 비교해 보면,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혜택을 추가한 것이 핵심입니다. 이동 거리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원 혜택도 확대되어 대중교통비 절감 효과가 더욱 커졌습니다.

     

     

     

    4. the 경기패스 사업

    경기도에서는 k-패스 사업을 업그레이드시켜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들을 위해 지원 대상 연령대를 확대시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월 이용 횟수도 21회 이상은 무제한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매일 출퇴근하는 학생들이나 39세 미만 직장인들에게는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로 어린이와 청소년은 기존 13세~23세에서 6세~18세로 조정되었으며, 청년은 19세~34세에서 19세~39세로 나이대가 증폭 조정 되었습니다.

     

     

     

     

    이상 K패스와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점과 차이점도 알려드렸는데요. 대중교통비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내년 하반기부터는 혜택이 더 많은 K패스를 사용하시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